멧돼지의 식습관과 서식지

식습관과 서식지


서식지

습지에서부터 산등성이까지 다양한 곳에 서식한다.  덤불숲이나 습지의 풀 속 같은 은신처를 선호한다.
야생돼지는 가축 사육지에도 잘 나타난다. 도토리가 나는 활엽수림을 선호하지만 침엽수림에도 잘 나타난다. 사람의 흔적이 별로 없는 곳이나 사람과 멀리 떨어진 곳,  야간에는 노출된 공간이나 초지를 서식지로 이용하기도 한다. 더운 여름철에는 많은 시간을 연못, 개울, 샘이나 은신처 근처에서 뒹굴며 시간을 보낸다.

멧돼지는 생긴것과는 달리 평소에는 찬바람을 싫어하며 보통 양지바른 남향판 활엽수림에 주둥이로 땅을 파고 낙엽을 깔아 포근한 잠자리를 만든다(오창영, 1994).

폴란드에서는 참나무류 혼효림 지역이 가문비나무와 소나무 조림지에 비하여 2 ~ 5배 정도로 멧돼지 밀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오래된 참나무숲에서는 도토리 결실이 풍부한 해의 겨울철 개체군 밀도가 일시적으로는 최고 23.8마리/km2까지 올라가지만 장기적으로는 평균 5.9마리/km2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접한 침엽수 조림지에서는 평균 3 ~ 5 마리/km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먹이 이용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하고있다(Jedrzejewska 등, 1994).
 

멧돼지들의 행동권은 먹이,  잠자리, 물웅덩이 그리고 서식지의 공간적 배치에 의하여 결정되는 데, 서식지내의 진흙목욕탕과 먹이공급원인 참나무숲 잠자리와 휴식장소인 밀생한 하층 식생이 중요한 요소이다. 물은 서식조건으로는 중요한 인자이나 서식지선택에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유병호 등, 1996).

우리나라 멧돼지의 행동권(행동반경) 평균 5.13 km2 (최태영 등, 2006)이며, 이 행동반경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확장되거나 축소되기도 한다. 겨울에는 집단생활을 하고 그외 시기에는 단독생활을 하며(서창완, 2000) 각 무리의 행동권은 중복되며(김원명, 1994) 채식장, 물터,진흙터, 휴식장소, 잠자리 등을 서로 공유한다

 

식습성

계절과 서식지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이용한다. 야생멧돼지는  잡식성이지만 80 ~ 90 % 식물성먹이 위주의 채식성향이 우세하다. 동물사체에서부터 곡물 심지어 땅속의 풀뿌리를 먹고 살기도 한다. 야생멧돼지는 되새김질을 하는 다른 유제류에 비하여 풀이나 나무뿌리, 껍질같은 셀룰로오스에서 탄수화물을 추출해 내는 능력이 부족하다. 곡류나 대체먹이를 이용할 수 없을 때는  굴밤, 도토리와 같이 영양가가 높은  먹이를 선호한다.

야생멧돼지는 이용가능한 먹이 종류나 먹이양의 시공간적 변화에 적응하여 어떤 경우는 농작물을 약탈하거나 또는 먼거리까지 이동을 하는 등 기회주의적 섭식을 한다.

도토리나 다른 나무열매가 있는 곳에서는 이들이 주식이 된다. 야생도토리가 떨어지는 가을이면 돼지는 참나무 숲에서 집단으로 모이며 이시기에는 일반적으로 이동이 그다지 크지 않다.

나무열매가 없는 겨울이면 야생돼지들은 활동반경을 넓히며 땅속의 식물성먹이, 초본성식물, 심지어는 무척추동물까지 먹이로 소비한다(Singer,1981).

위 내용물을 분석해 보면 야생돼지는 척추동물 고기까지 섭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어느 동물까지가 야생돼지의 먹이가 되는지는 알수 없다.

또한 연구보고에 의하면 야생돼지는 양뿐만 아니라(Pavlov et al. 1981) 어린 염소, 송아지 그리고 다른 동물을 잡아먹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있다.

Genov(1981)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간 131종의 식물을 먹었으며, 위내용물을 양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농작물은 71%, 초본이나 목본성 먹이가 21%, 동물성 먹이가 9%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하기 쉬운 곡물 몇가지를 이용하여 유인먹이 탐색실험을 한 결과 멧돼지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는 고구마 이었고, 감자, 옥수수, 쌀겨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고구마와 잔밥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잔밥에 대한 반응이 매우 높아 잔밥 역시 멧돼지가 선호하는 먹이임을 알수있었다(양상진, 2009)

참고자료

 

김원명.1994. 멧돼지(Sus scrofa coreanus Heude)의 서식지 이용연구를 위한 Radio-Telemetry 의 적용시험.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p66


서창완, 박종환. 2000. GIS와 로지스틱 회기분석을 이용한 멧돼지 서식지 모형 개발.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8(1):85-99

양상진. 2009.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피해 예방 대책기술개발 : 산지 사과원 야생동물피해 방지를 위한 멧돼지 포획장치 개발 . 농촌진흥청

 

오창영. 1994. 돼지의 생태와 관련민속, 제27회 국립민속박물관 학술강연회

유병호. 1996. 산림생태계의 균형유지 : 수렵조류 서식환경의 모델화.임업연구보고서.임업연구원

최태영, 이윤수, 박종화. 2006. 지리산의 멧돼지 Sus scrofa 행동권. J. Ecol. Field Biol. 29(3): 253∼257


Genov, P. 1981. Food Composition of Wild Boar in North-eastern and Western Poland. Acta Theriologica, 26 (10):185-205.

Jedrzejewska, B., Okarma, H., Jedrzejewski, W. and Milkowski, L. 1994. Effects of exploitation and protection on forest structure, ungulate density and wolf predation in Bialowieza Primeval Forest. Poland Journal of Applied Ecology. 31:664-676.


Pavlov, PM., Hone, J., Kilgour, RJ. and Pedersen, H. 1981. Predation by feral pigs on Merino lambs at Nyngan, New South Wales. Australian J. Exp. Agric. An. Husb. 21:570-574.


Singer, FJ. 1981. Wild pig populations in the national parks. Environ. Manage. 5:263-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