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의 분류(classification)와 번식(reproduction)


뱀의 분류학상의 위치


Squamata, 유린류(scaled reptile)

척추동물문 파충강(5종의 아강으로 구성)에 속하는 동물, 도마뱀(lizard and snakes), 뱀, 거북이, 공룡등이 포함됨

15 families(과)에 456 genera(속) 2,900 species(종)


Kingdom: Animalia
Phylum: Chordata (척추동물문)
Class: Reptilia (파충강)
Subclass(쌍궁아강)
Order: Squamata (유린목, 뱀목) /조반목/용반목
Suborder: Serpentes

파충강의 아강(subclass)

파충류는 안와의 후방에 있는 측두창이라고 하는 구멍과 후안와골, 인상골의 2골과의 관계에서 5아강으로 분류


(1) 구멍이 보이지 않는 무궁류(거북류 등),
(2) 구멍이 양옆에 1개씩이고 그 하연(下緣)과 2골과의 사이에 별도의 뼈가 들어가 있는 어기류,
(3) 구멍이 1개이고 2골이 그 밑 가장자리에 있는 광궁류(장경룡류 등),
(4) 구멍이 1개이며 2골이 그 위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단궁류(견치류 등),
(5) 구멍이 2골로 나누어진 결과 각 옆에2개씩 되는 쌍궁류(뱀, 도마뱀, 악어류 등)이다.

현생종은 변온성이지만 절멸종 중 단궁류와 주용류의 일부는 항온성이었다는 설도 있다. 
또 조류는 쌍궁아강 주용류(악어류와 공룡류를 포함한다)에서 포유류는 단궁류에서 분화된 것이다.
현생은 약 6,600종이 있다.


파충강 / 제 5아강(쌍궁아강) / 뱀목(유린목)
공룡류는 쌍궁아강 조반목과 용반목으로 구성
견치류 (티라노사우르스) 단궁아강 수궁목 중 아목으로 분류
다양한 크기로 16mm Jaragua Sphaero (Sphaerodactylus ariasae)부터 8미터 (26 ft) Green anaconda (Eunectes murinus), 그리고 지금은 멸종되었지만 수생공룡인 14미터 크기의 mosasaur 등이 포함 됨


참고 : 생명과학대사전, 강영희, 2008


뱀의 번식(Reproduction)

팔다리도 없으면서 교미를 하는데 애로가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뱀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암컷이 짝짓기할 때가 되면 등어리 쪽의 피부샘에서 독특한 향(페로몬)을 방출하기 시작한다. 

일상적인 이동을 하는 동안 땅위에 냄새로 흔적을 남긴다. 

성적으로 성숙한 수컷이 이 냄새를 맡게 되면 암컷을 찾을 때까지 이 흔적을 따라가게 된다. 

암컷의 뒷머리에 뺨을 부벼대고 굽신거리면서 암컷의 환심을 사려고 한다. 

암컷이 의향이 있으면 자신의 꼬리를 쳐들어 올린다.바로 이때에 숫컷은 자신의 꼬리로 암컷의 꼬리를 휘감아서 암수의 꼬리 복측(bottom)이 서로 배설강(배설물과 생식액의 배출구)에서 맞닿게 한다.

교미 사진

수컷이 자신의 생식기(반음경)를 삽입하고, 충분히 커진다음 정액을 방출하게 된다. 

가끔은 두개의 생식기중 하나만을 사용하고 하나는 남겨두어 다른 암컷에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반음경은 구부러져 있거나, 갈고리모양 또는 돌기가 있어 암컷의 배설강 벽을 걸어서 교미시 생식기가 잘 빠지지 않게 한다 (Capula, 1990). 

또한 암컷의 배설강으로 반음경이 들어가게 되면 최대한 팽창하여 쉽게 빠지지 않게 한다.
짝짓기를 하게 되면 보통 한 시간 정도 걸리지만, 하루 종일 걸릴 때도 있다.



반음경 사진

암컷 뱀은 연간 1, 2회 번식을 하는 데 출산방식은 종에 따라 다르다. 

일회에 1에서 150마리까지 새끼를 낳는 뱀도 있고 1에서 100개의 알을 낳는 뱀도 있다. 

보통 20개 근처의 알을 많이 낳는다.
이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하는 경우는 부화할 때 까지 뱃속에 알을 보관했다가 살아있는 새끼를 낳기도 한다(난태생).


대부분의 경우 암컷 뱀은 닭처럼 알 위에 또아리를 틀어 앉거나 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는 어린 새끼나 알이 떠나기 전에 옆에서 몇 일간 보호를 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뱀들은 알을 낳은 후 방치해버리지만 킹 코브라와 같은 몇몇 종은 둥지를 만들고 부화한 새끼들 근처에 머문다.
파이톤은 알 주위로 또아리를 틀어 부화할 때까지 보살핀다. 

암컷 파이톤은 이따금 물을 먹거나 햇빛을 쬐일 때를 제외하고는 알 주위를 떠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알을 부화시키기 위해서는 몸을 떨어 열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뱀은 난생, 난태생으로 구분하지만 보아나 푸른 아나콘다와 같은 경우는 완전한 태생이다(Capula, 1990). 

태반과 난황을 통해서 영양분을 공급하는 데, 태반포유류나 상어를 제외하고는 파충류로서는 흔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와 같이  알을 뱃속에서 품었다가 새끼를 낳는 경우는 새끼를 뱃속에서 품는 것과 마찬가지로  차가운 환경과 깊은 관계가 있다.

임신기간

보아(Columbian Rainbow Boa) : 약 200일
파이톤 Royal or Ball Python (Python regius) :40~80일
Corn Snake (Elaphe guttata) : 60일
Common Ratsnake (Elaphe obselata sp.) : 65 ~ 70일


알의 부화기간
종에 따라 다르지만 30도 근처에서 2 ~ 3개월 걸림


예) 물뱀(Brown Water Snakes), 난태생
sperm은 배설강에서 수개월 ~ 1년까지 생존가능
배란에 의하여 정자와 수정됨
교미 4 ~ 5월(교미기간이 따로 없다)
초가을(9월) 20 ~ 60마리 새끼 낳음


성장

뱀도 사람과 같이 성체가 될 때 까지는 성장속도가 빠르다. 

성체가 되기까지 보통 1년에서 9년 정도 걸리지만 뱀의 성장은 성체가 된 후에도 아주 느리지만 멈추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현상은 부정기 성장(indeterminate growth)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종에 따라 4년에서 최장 25년까지 생존할 수도 있다.

참고자료

Capula M. 1990. Simon & Schuster's Guide to Reptiles and Amphibians of the World. New York: Simon & Schuster.
Engelmann WE, Obst FJ. 1984. Snakes: Biology, Behavior and Relationship to Man.
Howard  WE. 1994. Rattlesnakes. The Handbook: Prevention and Control of Wildlife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