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환경 주위에  뱀이 나타난다면 혐오스러울 뿐 아니라  독사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매우 위험하다.

뱀을 완전히 없앤다면 좋겠지만 먹이 사슬에서 뱀이 차지하는 역할이  나름 의미가 있기에  완전히 없앨 수도  없다. 


뱀을 관리하는 방법은


1. 생활환경과 격리- 뱀 방지용 펜스를 설치한다. 높이 30cm정도의 펜스를 설치하면 뱀이 넘어 오지 못한다. 단, 이때 펜스에는 뱀이 이용할 수 있는 돌출물이나 틈이 없어야 한다. 망(mesh)을 이용할 경우 눈금이 1cm 이하여 야 한다.

뱀퇴치 작업 사례 : 경북소재대학교


2. 퇴치제를 이용

   민간에서는 백반을 이용하여 뱀을 퇴치할 수 있다고 하여 백반을 집 주위에 뿌려 놓곤 했었다. 최근에     T.V 방송과 여러 YouTube에서 실험 한 결과 전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뱀은 귀가 없어서 소리를 듣지 못하는 대신 다른 감각 가관이 극도로 발달해 있다. 일종의 보상 작용 인듯하다.

후각기능이 발달해서  주위환경을 냄새를 맡아서 판단한다. 강력한 냄새는 뱀의 후각기능을 마비시키기 때문에 자극적인 물질들이 퇴치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3. 퇴치기 이용

뱀은 청각 기능을 상실한 대신  미세한 진동까지 감지하는 능력이 있다.이를 이용하여 개발된 제품이 뱀 퇴치기이다. 뱀이 숨어 있는 장소에 진동발생기를 설치하면 뱀은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4. 뱀 포획용 트랩

집주위나 생활 환경내에 뱀이 나타났을때 포획하는 제품

--> 자세한 설명

뱀 방지용 펜스 설치 100m 기준 120만원 . 시공사례 >>

여름철 뱀 조심.

관리자
2022-05-17
조회수 856


우리나라에는 4월 중순부터 뱀이 동면에서 깨어나와 활동을 하기 시작한다.

14종의 뱀이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으며 그중 4종은 독사에 속한다.

우리나라의 독사는 유혈목이를 제외하고는 살무사과(Viperideae)에 속한다

학술명은 살무사 이지만 관행적으로 살모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살무사 -까치독사

까치살무사 - 칠점사(깊은산, 7부능선 이상에서 서식, 난태생으로 9-10월 중에 짝짓기를 하고 이듬해 8월 중에 새끼를 낳는다. 능구렁이가 잘 잡아 먹는 뱀)

쇠살무사 - 부독사, 불독사, 약간 붉은색이 나는 갈색으로 산과 농경지가 만나는 접경지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유혈목이 - 너불대



분류학상 뱀의 위치


Order : 뱀아목(Serpentes)

Family : 살무사과(Viperidae)-방울뱀아과(Crotalinae), 

Genus : 살무사속(Gloydius)


종(species)

G. brevicaudus : 까치독사, 살무사, rock mamushi, short tailed mamushi 

Glyoidius ussuriensis : 쇠살무사, 독사, 불독사, 부독사, red-tongue viper snake

G. intermedius :  까치살무사, 칠점사, 칠점백이, central asian pitviper

Rhabdophis tigrinus : 유혈목이, 꽃뱀, 화사, 율모기, 너불대, 너불대기, tiger keelback snake

살무사는 한번 물면 약 0.1ml정도의 독액이 나오고 유혈목이는 0.05ml정도의 독액이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뱀에 물렸을 경우 처치방법


△ 혹시 다른 뱀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해당지역을 재빨리 벗어난다..

△ 물린 부위를 비누와 물로 씻어내고 물린 자국을 확인한다.

△ 물린 자국에 독니 흔적이 있으면 물린 부위 윗부분을 넓은 천으로 묶어준다.

△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위치시키고 가능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 가능한 빨리 병원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뱀의 무늬는 같은 종 끼리도 변이가 심하여 전문가가 아닌 이상 무늬만 보고 독사인지 독이 없는 뱀인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가장 확실한  구별 방법은  독니의 존재 유무이다. 

모든 독사는 앞니가 독니(pang)로 되어 있다. 단 꽃뱀은 독니가 앞니가 아니고 어금니가 독니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물더라도 독액을 주입할 수 없다.

독사에게 물리면 이빨자국의 전면으로 크고 뚜렸한 독니 자국이 확연하게 드러난다 


살무사와 까치 살무사를 무늬로 구분.

살무사는 육각 또는 다이아몬드 모양의 단독 무늬를 가지지만 까치 살무사는 무늬가 몸통의 직각 방향으로 띠를 이루고 있다.

쇠 살무사는  몸 색갈이 적갈색이라 쉽게 구분이 가능하며 살무사나 까치 살무사에 비하여 크기가 작다. 


독사와 독이 없는 뱀의 교상 자국 비교


가디언 자료 2022년 5월 초고

1 0